가문의 영광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문의 영광은 2008년 10월 11일부터 2009년 4월 19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다. 멸문한 종가를 재건한 하만기 회장과 그의 후손들을 중심으로,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갈등, 가족의 의미를 다룬다. 하씨 가문의 막내 손녀 하단아와 이씨 가문의 아들 이강석의 로맨스를 중심으로, 하씨 가문의 다른 가족들의 이야기와 함께 전개된다. 2009년 SBS 연기대상에서 박시후와 윤정희가 수상했으며, 베트남, 일본,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도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지우 시나리오 작품 - 그대의 창
1996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그대의 창은 강석우, 김혜리, 천호진 등이 주연을 맡았고, 차주옥이 SBS 드라마에 처음 출연하여 디자이너 역할을 맡아 연기 변신을 시도했다. - 정지우 시나리오 작품 - 왕십리 (1993년 드라마)
1993년에 방영된 드라마 왕십리는 천호진, 금보라, 김일우, 장서희 등의 배우들이 출연했다. - 중국중앙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경화연운
《경화연운》은 1930년대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세 가문의 흥망성쇠와 개인의 고뇌를 그린 린위탕의 소설로, 가족, 사랑,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홍루몽》의 영향을 받아 섬세한 인물 묘사와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고, 여러 차례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중국중앙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마술기연
마술기연은 마술사 김수와 그의 연인 효매를 중심으로 마법 카페에서 벌어지는 로맨스와 갈등, 정의를 다루며, 돈과 명예를 좇아 변해가는 김수와 그에 맞서는 오준안, 그리고 정의로운 영웅 오기안의 이야기를 그린 2004년 중국 영화이다. -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는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의 삶과 정치 활동을 그린 1998년 SBS 드라마로, 시대상황과 인물 심리 분석, 민주화 운동 긍정 평가, 권력 비판 시각을 제시하지만, 주관적 해석, 캐스팅 문제, 낮은 시청률, 평면적 구성 등으로 조기 종영 및 비판을 받았다. -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프라하의 연인
프라하의 연인은 2005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대통령의 딸 윤재희와 형사 최상현이 프라하에서 만나 펼치는 로맨스를 다루며, 전도연, 김주혁 등이 출연했다.
가문의 영광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로맨스 가족 드라마 |
출연 | 윤정희 박시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횟수 | 54 |
연출 | 박영수 |
극본 | 정지우 |
방송사 | SBS |
첫 방송일 | 2008년 10월 11일 |
마지막 방송일 | 2009년 4월 19일 |
제작사 | (주)넝쿨째 |
책임 프로듀서 | 허웅 |
원제 | |
한글 | 가문의 영광 |
한자 | 家門의 榮光 |
로마자 표기 | Gamunui Yeonggwang |
영어 제목 | Family's Honor |
2. 방송 시간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SBS | 2008년 10월 11일 ~ 2008년 10월 19일 | 토, 일 밤 10:00 ~ 11:20 | 1시간 20분 |
2008년 10월 25일 ~ 2009년 4월 19일 | 토, 일 밤 10:00 ~ 11:10 | 1시간 10분 |
드라마는 멸문한 종가를 재건한 하만기 회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하만기는 낡은 족보밖에 남지 않은 가문을 일으켜 세우고, 흩어진 종친을 모으는 등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실천한다. 하만기 회장의 후손들은 이혼, 간통 등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겪지만, 이를 통해 자신을 사랑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며 성장한다.[6]
이 드라마는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작품 중 하나로,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1회씩, 주 2회 방송되었다.[6]
3. 줄거리
하씨 가문과 고리대금업 등으로 부를 축적한 신흥 부자 이씨 가문의 만남은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 자본주의 가치관의 충돌을 보여준다. 하씨 가문의 막내 손녀 하단아(윤정희)와 이씨 가문의 아들 이강석(박시후)은 우여곡절 끝에 서로를 사랑하게 되지만, 가문의 반대와 여러 사건에 휘말린다.
단아의 쌍둥이 형제들인 하수영(전노민)과 하태영(김성민) 역시 각자의 사랑을 찾아간다. 하수영은 자신보다 어린 여자(신다은)와, 하태영은 괄괄한 여경(마야)과 사랑에 빠진다.
두 가문의 갈등과 화해, 그리고 여러 인물들의 사랑과 성장을 통해 드라마는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6]
4. 등장 인물
4. 1. 하만기 가족
신구가 연기하는 하만기는 하씨 문중의 종손으로, 멸문한 가문을 재건한 인물이다. 그는 출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데, 사실 그의 아버지는 한일 병합 시대에 징용으로 생식 능력을 잃었고, 징용 중 그의 어머니가 누군가에게 강간당해 태어난 것이 바로 만기였다. 종가의 명예를 더럽힌 책임을 지고 만기 출산 후 어머니는 자살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자살한 아내를 종부(종가의 가주 아내)로, 그리고 만기를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아버지의 존재와 그가 남긴 말은 만기가 자신의 피에 대한 원한과 증오에서 벗어나 몰락한 가문을 재건하겠다는 꿈에 매진하게 해주었다.[7]
박현숙이 연기하는 하주정은 하만기의 동생으로, 방송국 교양 PD이다. 그녀는 갓난아기 때 버려졌다가 하씨 가문에 입양되어 하만기의 여동생으로 자랐기 때문에, 하만기와 혈연 관계는 없다.
서인석이 연기하는 하석호는 하만기의 아들로, 하씨 가문의 장손이다. 나영희가 연기하는 이영인은 하석호의 부인으로, 하씨 가문에 합류하여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다.
전노민이 연기하는 하수영은 하만기의 손자이자 하석호의 아들로, 신다은이 연기하는 오진아와 결혼한다. 김성민이 연기하는 하태영은 하수영의 쌍둥이 동생이자 하만기의 손자, 하석호의 아들로, 마야가 연기하는 나말순과 결혼한다. 나말순은 정의감 넘치는 교통 경찰이다.
윤정희가 연기하는 하단아는 하만기의 손녀이자 하석호의 딸로, 박시후가 연기하는 이강석과 결혼한다. 그녀는 사학과 조교수로서 지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박준목이 연기하는 하동동은 하태영의 아들이다.
배우 | 역할 | 설명 |
---|---|---|
신구 | 하만기 | 하씨 문중의 종손, 하석호의 아버지. 멸문한 가문을 재건한 인물. 출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으며, 혈통보다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한다.[7] |
박현숙 | 하주정 | 하만기의 동생, 방송국 교양 PD. 하만기와 혈연 관계는 없지만, 가족으로 헌신한다. |
서인석 | 하석호 | 하만기의 아들, 하씨 가문의 장손. |
나영희 | 이영인 | 하석호의 부인. 하씨 가문에 합류하여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다. |
전노민 | 하수영 | 하만기의 손자, 하석호의 아들, 오진아의 남편. |
신다은 | 오진아 | 하수영의 부인. 순수한 사랑을 보여준다. |
김성민|김성민 (1973년)한국어 | 하태영 | 하수영의 쌍둥이 동생, 하만기의 손자, 하석호의 아들, 나말순의 남편. |
마야 | 나말순 | 하태영의 부인, 교통계 순경. |
윤정희 | 하단아 | 하만기의 손녀, 하석호의 딸, 이강석의 부인. 사학과 조교수. |
박준목 | 하동동 | 하태영의 아들. |
4. 2. 이천갑 가족
이천갑 (연규진 분)은 최영자의 남편이자 이강석의 아버지로, 자수성가한 신흥 부자이다.[7] 최영자 (서권순 분)는 이천갑의 부인이자 이강석의 어머니이다.[7] 이강석 (박시후 분)은 이천갑과 최영자의 아들이자 하단아의 남편으로, 냉철한 사업가이지만 하단아를 만나 변화한다.[7] 이혜주 (전혜진 분)는 이강석의 여동생으로, 순수한 사랑을 꿈꾼다.[7]4. 3. 주변 인물
5. 한국 사회와 드라마
드라마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와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하만기 회장의 종가 재건 과정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등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반영하며, 혈통주의를 넘어선 인간 존엄성의 가치를 강조한다.[1]
하만기는 낡은 족보 외에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었지만, 자신을 "귀한 사람"으로 여기며 멸문한 종가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 이는 자신을 사랑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을 보여준다.[1]
드라마는 물질만능주의에 물든 현대 사회에 일침을 가하며, 자신을 사랑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씨 가문과 이씨 가문의 대조적인 모습을 통해 전통적 가치관과 신흥 부자의 가치관을 비교하고, 하단아와 이강석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관계의 의미를 탐구한다.[1]
또한, 하수영과 하태영 등 다양한 인물들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6. 평가 및 영향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작품 중 하나로 제작되어, 매주 토요일 및 일요일에 1화씩, 주 2회 방송되었다. 정지우가 극본을 집필하고, 박영수가 연출을 담당했다.
"종가" 중 하나인 하만기 가문의 전통과 가족을 지키려는 모습과, 맨손으로 시작해 자수성가하여 재산을 모은 이천갑 가문이 자녀들을 위해 "가문"을 남기려는 모습을 통해 가족의 끈끈함과 명가의 전통을 보여주는 것이 작품의 메인 테마이다. 등장인물의 묘사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채로운 에피소드, 그리고 불필요한 자극을 배제한 구성으로 인해, "무공해 드라마", "명작 드라마"라는 평가를 받았다[6]。 한국 내에서는 평균 20%, 마지막 회에서 26.7%의 시청률을 기록했다[6]。
2010년 12월 3일, 하태영 역으로 출연했던 김성민이 메스암페타민 상습 사용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었다고 보도되었다[8]。이에 따라, 같은 해 12월 13일부터 방송을 시작할 예정이었던 BS 아사히는 방송 중지를 결정하고, 대신 '미워도 다시 한번'을 방송한다고 발표했다[9]。또한 해당 프로그램을 방송 중이었던 TV 오사카에서도 미방송분을 남겨둔 채 방송 중지를 발표[10],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다.
7. 국제적 인기
2009년 11월 16일부터 HTV3를 통해 베트남에서 '''빈 꽝 지아 톡'''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1] 베트남에서는 이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사랑의 무지개(Cầu vồng tình yêu)가 VTV3에서 2011년 9월 15일부터 2012년 7월 5일까지 방영되었다.[2]
일본에서는 스카이퍼! 계열 전문 채널인 KNTV에서 2009년 8월 25일부터 11월 10일까지 방송되었고, CS 방송국인 위성 극장에서 같은 해 11월 18일부터 방송되었다.[3]
싱가포르에서는 국내 중국어 민영 방송국인 미디어코프 계열 채널 미디어코프 채널 U(MediaCorp Channel U)에서 2009년 10월 11일부터 2010년 3월 27일까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7시 30분에 방송되었다.[4]
8. 수상
2009년 SBS 연기대상에서 박시후는 특별기획 드라마 부문 남자 연기상을, 윤정희는 PD상을 수상했다.[3][4] 박영수 감독은 인기 있는 가족 드라마를 제작하여 SBS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한 공로로 SBS로부터 공로상을 받았다.[5]
참조
[1]
웹사이트
Maya Cast in a TV Drama
https://web.archive.[...]
2008-04-04
[2]
웹사이트
Are family dramas' glory days over?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08-10-09
[3]
웹사이트
Jang Seo-hee wins grand prize at SBS Drama Awards
http://www.asiae.co.[...]
2010-01-04
[4]
웹사이트
Family Honour – 2009 SBS Drama Awards Transcript
http://dramatomy.com[...]
2010-01-10
[5]
웹사이트
無막장 '가문의 영광', SBS인센티브상 수상
http://star.mt.co.kr[...]
2009-04-23
[6]
웹사이트
放映終了の『家門の栄光』、真のヒューマニズムを描いた名作ドラマ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9-04-20
[7]
문서
本編第14話登場。家門の栄光 DVD BOX-2(ポニーキャニオン2010)参照。
[8]
웹사이트
タレントのキム・ソンミンが覚醒剤使用で逮捕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0-12-05
[9]
웹사이트
韓国ドラマ
https://megalodon.jp[...]
2010-12-21
[10]
웹사이트
アジアドラマタイム 家門の栄光
https://megalodon.jp[...]
2010-12-21
[11]
뉴스
"방송퇴출 현대판 연좌제"
http://www.joongang.[...]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02-11-13
[12]
뉴스
신현준, 5년만에 드라마 ‘카인과 아벨’ 컴백
http://entertain.nav[...]
동아일보(스포츠동아)
2008-12-10
[13]
뉴스
‘에덴의 동쪽’ 정혜영 “제니스 매력에 푹”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08-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